Chủ Nhật, 12 tháng 5, 2019

[한국사] 16. 진흥왕 : 네이버 블로그

진흥왕 배신,진흥왕 가계도,진흥왕 황룡사,진흥왕 국사,진흥왕 영토,진흥왕 순수비 내용,진흥왕 화랑도,진흥왕 대가야,진흥왕 순수비 순서,진흥왕 업적,

진흥왕 배신,진흥왕 가계도,진흥왕 황룡사,진흥왕 국사,진흥왕 영토,진흥왕 순수비 내용,진흥왕 화랑도,진흥왕 대가야,진흥왕 순수비 순서,진흥왕 업적,

[한국사] 16. 진흥왕

진흥왕 배신,진흥왕 가계도,진흥왕 황룡사,진흥왕 국사,진흥왕 영토,진흥왕 순수비 내용,진흥왕 화랑도,진흥왕 대가야,진흥왕 순수비 순서,진흥왕 업적,

2016. 3. 25. 19:20

이웃추가
진흥왕

인재를 기르고 힘을 모았어
 지증왕, 법흥왕을 거치면서 왕권을 강화하고 차근차근 힘을 모아가던 신라는 진흥왕 때 눈부신 발전을 이뤘어. 진흥왕은 우선 유능한 청소년을 양성하는 단체인 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바꿔서 많은 인재를 길러내도록 했어. 이렇게 길러진 인재는 삼국 통일에 기여했지. 그리고 황룡사라는 큰 절을 짓고 대규모의 불교 집회를 열어서 국가의 평안과 발전을 빌었어. 이렇게 안으로 국가 기반을 다지면서 영토 확장에 힘을 쏟아부었지.

백제와 힘을 합쳐 한강을 되찾자!
 진흥왕은 고구려의 장수왕이 점령한 한강 상류 지역을 차지하기 위해 백제와 힘을 합치기로 결심해. 진흥왕은 "우리 힘을 합쳐서 고구려군과 싸워 장수왕 때 빼앗긴 영토를 회복합시다."라고 백제의 성왕과 약속을 했어. 또 고구려를 몰아낸 후 신라는 한강 상류 지역을, 백제는 한강 하류 지역을 차지하기도 했지. 신라와 백제의 연합군은 열심히 싸워 결국 빼앗긴 한강 유역의 땅을 다시 찾았어.

한강 하류 지역까지 정복
 그런데 진흥왕은 백제가 되찾은 한강 하류 지역이 탐났어. 왜냐하면 신라는 동남쪽에 치우쳐 있었기 때문에 중국과 직접 통하는 게 불가능해서 백제의 도움을 받아야만 중국 문물을 받아들일 수 있었거든. 그런 신라가 한강 하류 지역을 얻는다면 중국과 직접 교역이 가능해지는 거야. 결국 진흥왕은 기습 작전으로 백제를 공격해서 단번에 한강 하류 지역을 신라의 영토로 만들었어. 이때 백제의 성왕은 어땠을까? 화가 난 성왕은 뒤도 돌아보지 않고 자신이 직접 군사를 이끌고 신라로 쳐들어갔어. 그런데 오히려 관산성에서 전투를 벌이다 전사하고 말았지. 이렇게 하여 신라는 한강 유역을 얻을 수 있었지만 오랫동안 맺어온 신라와 백제의 동맹(나·제 동맹) 관계는 끝이 나버렸어.

황룡사는 얼마나 큰 절이었을까?
 황룡사는 경주에서 가장 큰 절이었다고 하는데, 안타깝게도 고려 때 몽골의 침입으로 불에 타서 지금은 터만 남아있어. 황룡사에는 황룡사 9층 목탑이 있었는데, 높이가 약 80m에 이르렀다고 해. 그 정도 높이면 아파트 20층 높이만 한 탑이야. 주변의 9개국을 정복하려는 뜻을 담아 만든 탑이었는데 이 탑 역시 몽골의 침입 때 불타 볼 수 없다니 정말 안타까워.

진흥왕의 영토 확장

신라의 최대 영역 확보
 진흥왕은 고구려와 백제를 밀어내고 한강 유역을 차지함으로써 신라 발전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어. 신라의 위상은 높아졌고, 황해의 바닷길을 잉ㅇ해 중국과 직접 외교 및 교역을 활발히 펼칠 수도 있게 되었어. 진흥왕 때 신라의 영토는 북으로는 원산만 일대까지 올라가서 고구려 영토였던 함흥평야까지 차지했고, 남으로는 고령의 대가야를 정복함으로써 낙동강 유역까지 차지했어. 그리고 개척한 영토 곳곳에 이를 기념하기 위한 순수비를 세웠어. 이렇게 세운 비가 바로 진흥왕 순수비야. 진흥왕은 자신을 황제에 비유하여 '진흥 태왕 짐'이라고 표현함으로써 자신감을 나타냈는데, 이 정도면 당시 신라의 국력이 강했다는 걸 알 수 있겠지? 이러한 국력에 힘입어 '개국'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기도 했어. 이처럼 진흥왕 때 신라는 완전히 새로운 모습으로 역사 앞에 당당히 나서게 된 거야.

단양 신라 적성비
 진흥왕이 고구려로부터 남한강 상류 지역을 확보한 후 세운 비석이야. 충청북도 단양군 적성(赤城)에 세워져 있어서 단양 신라 적성비라고 불러. 오랫동안 땅속에 묻혀 있어서 비석면이 깨끗하고 글자가 생생해서 6세기 삼국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어. 비석의 윗부분이 깨져서 전체 내용을 알 수 없다는 것이 안타깝지만, 그래도 남은 부분의 288자와 깨진 조각에서 찾아낸 21자를 통해 309자의 뜻을 알 수 있어. 진흥왕은 왜 이런 비석을 세운 걸까? 백제 땅이었다가, 고구려 땅이 되었다가, 다시 신라의 땅이 된 이곳의 백성들에게 앞으로는 신라에 충성을 다해야 한다는 말을 전하고 싶었던 건 아닐까?

진흥왕 배신,진흥왕 가계도,진흥왕 황룡사,진흥왕 국사,진흥왕 영토,진흥왕 순수비 내용,진흥왕 화랑도,진흥왕 대가야,진흥왕 순수비 순서,진흥왕 업적,
단양 신라 적성비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는 진흥왕이 영토를 확장한 것을 알리고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야. 낙동강 유역을 차지하고, 한강 하류 유역으로 진출하여 서해안 지역을 확보하고, 동북으로 함흥 평야까지 영토를 넓힌 진흥왕은 이런 확대된 영역을 직접 다니면서 순수비를 세웠어. 지금까지 발견된 것은 가야를 정복한 후 세원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국보 33호), 한강 유역을 장악한 후 세운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국보 3호), 함경도 지역까지 진출한 후 세운 마운령 진흥왕 순수비(북한 국보 111호), 황초령 진흥왕 순수비(북한 국보 110호), 모두 4개야. 이런 기념비를 세운 이유가 뭘까? 정복 활동으로 넓어진 신라의 영토를 자랑하고, 정복한 땅의 백성들에게 신라의 정복 능력을 보여주면서 신라가 백성을 편안하게 해줄 수 있다는 선전의 효과도 노렸을 거야.

진흥왕 배신,진흥왕 가계도,진흥왕 황룡사,진흥왕 국사,진흥왕 영토,진흥왕 순수비 내용,진흥왕 화랑도,진흥왕 대가야,진흥왕 순수비 순서,진흥왕 업적,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 국보 33호
진흥왕 배신,진흥왕 가계도,진흥왕 황룡사,진흥왕 국사,진흥왕 영토,진흥왕 순수비 내용,진흥왕 화랑도,진흥왕 대가야,진흥왕 순수비 순서,진흥왕 업적,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 - 국보 33호

북한산에 있던 진흥왕 순수비는 왜 옮겼나요?
 산에 있으면 비, 바람에 의한 훼손이 너무 심하기 때문이야. 요즘에는 환경 오염으로 인한 산성비 때문에 훼손이 더 심해졌어. 순수비에는 신라가 넓힌 영토뿐만 아니라 신하들의 명단과 소속된 부서명, 관직명 등도 기록되어 있어서 당시의 역사적 사실을 밝히는 중요한 자료로 사용되고 있어. 그렇기 때문에 소중하게 보존하기 위해 국립 중앙 박물관으로 옮겼어.

출처 : 한국사 개념사전
유물 사진 출처 : 국립중앙박물관(http://www.museum.go.kr/)
그 외 : 사진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Link Source : http://m.blog.naver.com/how_x0x0/220665279558

Không có nhận xét nào:

Đăng nhận xét